POINT
04
국내 항공우주산업은 어떻게 되는지
상세히 알려드립니다.
1970년대 후반~1990년
1990년대 후반
2000년대
2010년 ~ 현재
일정수준의 설계/개발기술, 시험평가 기술은 확보

국내 약 100여개 항공업체 중 약 42%가 항공기체 업체로 수출의 70% 담당
발달된 국내 전자, ICT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항공전자 분야 성장잠재력 보유
| 분 야 | 업체수 | 주요업체 |
|---|---|---|
| 체계종합 | 2 | KAI, 대한항공 |
| 항공기체 | 45 | 아스트, 샘코, 율곡, 하이즈항공 등
|
| 항공전자 | 24 | LIGNex1, 한화시스템(舊 한화탈레스) 등 |
| 부품/장비 | 15 | 현대위아, 한화/기계 등 |
| 추진계통 | 5 | 한화테크윈, 한국로스트왁스 등 |
| 무인기 | 5 | 유콘시스템, 대한항공, KAI 등 |
| 계 | 106 | - |

고급인력 공급은 안정적이나, 인력 수요가 상대적으로 부족
항공부문 (11,895명)

우주부문 (512명)

고용인력 : 약 1만 2,000여명
산업체 기준(연구소, 정비/운항서비스 부문 제외)

우리나라 경제의 신성장동력 필요
세계 시장여건 변화 및 국내업체 기술 축척
2020년 생산 200억불, 수출 100억불 달성을 위한 "항공산업 GLOBAL 7 도약
민항기 등 완제기 수출국으로 도약
항공기업 300개, 고용 70,000명 달성
완제기 개발, 부품육성, 핵심기술확보, 인프라선진화
민수 완제기 개발 및 수출 산업화 지원
군 항공기 개발과 연계한 산업발전 기반 구축
미래형 비행체 산업 생태계 성장 기반 구축
국가전략사업 연계 강화 및 핵심기술 유지
민항기 국제공동개발 참여 확대
민수부품 수출산업화 역량 제고
항공정비 및 개조,개량(MRO) 산업화
항공분야 기술개발 투자전략 보완
항공기술 로드맵 최신화 및 부처별 협력 강화
항공산업 맞춤형 금융지원제도 마련
지역별 기능별로 특성화된 항공 클레스터 육성,발전
우수인력 확보 및 원활한 인력 공급
항공우주산업개발촉진법 개정